들어가며: 왜 테더링은 제한될까?
스마트폰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해도 테더링은 용량 제한이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통신사가 네트워크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지만,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줍니다. 과거에는 APN 설정 변경으로 우회가 가능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차단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과거의 우회 방법을 간략히 소개하고, 현재 적용 가능한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과거에는 가능했던 방법: APN 설정 변경
※ 현재는 통신사 정책 변경으로 대부분 차단된 방법입니다.
- 설정 > 연결 > 모바일 네트워크 >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에서 새 APN 생성.
- 통신사별로 아래 설정 입력:
- LG U+:
APN 유형: default,supl,dun
(띄어쓰기 없이) - SKT/KT: 특정 포트 번호 및 APN 유형 설정
- LG U+:
- 저장 후 재부팅하여 적용.
하지만 최근 단말기와 통신사 정책 변경으로 APN 설정 편집이 차단되었습니다. 특히 자급제 폰이 아니면 히든 메뉴 접근도 어려워진 상태입니다.
현재 가능한 방법: PDA Net+ 활용 (USB 테더링)
※ 통신사에서 테더링 사용량을 감지하지 못하는 방법입니다.
준비물
- PC 또는 맥북
- Android 스마트폰 (USB 디버깅 지원)
- USB 케이블
PdaNet+ - Apps on Google Play
Share smart phone Internet with computers or tablets, no rooting needed.
play.google.com
설치 및 설정 단계
- PDA Net+ 다운로드
- PC용: 공식 사이트 접속 → Download Windows Client App
- 맥북용: Download for Mac OS X 선택
- PC에 PDA Net 설치
- 설치 중 드라이버 설치 허용 → Connect PDANet+ after installation 체크 → USB Mode 선택
- 휴대폰 설정
- 개발자 옵션 활성화: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 번호 7회 탭
- USB 디버깅 허용:
개발자 옵션 > USB 디버깅 ON
- 개발자 옵션 활성화:
- PDA Net+ 앱 실행
- USB Tether 체크 → PC 작업 표시줄에서 PDA Net 아이콘 우클릭 → Connect USB 선택
- 연결 확인
- 휴대폰에서 USB 디버깅 허용 팝업 → 이 컴퓨터에서 항상 허용 체크 후 예
- 작업 표시줄에 랜선 아이콘 표시되면 연결 성공!
Download PdaNet+
pdanet.co
주의사항
- 보안 앱 충돌: 금융앱 등 일부 앱이 비정상 작동할 수 있습니다. 사용 후엔 USB 디버깅 OFF 필수!
-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필요: 기본 데이터가 무제한인 요금제에서만 효과적입니다.
- 통신사 제한 우회: PDA Net은 테더링 트래픽을 암호화해 통신사가 감지하지 못합니다.
실제 적용 결과
- 테더링 데이터 미차단: 통신사 앱에서 테더링 사용량이 증가하지 않음.
- 속도 테스트: 5G 환경에서 200~500Mbps 속도 확인 (통신사별 차이 있음).
마치며
테더링 제한은 통신사의 불합리한 정책 중 하나입니다. 과거 APN 설정 방법이 차단되면서 PDA Net과 같은 외부 도구 활용이 현실적인 해결책입니다. 다만, 통신사 정책 변경에 따라 추후 차단될 수 있으니 최신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