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구매를 계획 중이라면 2025년도 전기차 구매보조금 개편안을 꼭 확인하세요. 이번 개편안은 예상대로 보조금 상한선 축소, 출고가 기준 강화, 주행거리 인센티브 상향 등 여러 변화를 담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을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1. 국고 및 지자체 보조금
- 중대형 승용차:
2024년 650만 원 → 2025년 580만 원 - 소형 승용차:
2024년 550만 원 → 2025년 530만 원 - 지자체 보조금:
지역별 상이하지만 전반적으로 축소 예상
2. 차량별 보조금 변화
- 기아 EV6: 650만 원 → 580만 원 (100% 지급 기준)
- 테슬라 모델 Y(LFP): 211만 원 → 175만 원
- BYD: 2025년 예상 170만 원
3. 차량 가격 기준 변경
- 100% 보조금 지급 기준:
기존 5,500만 원 → 5,300만 원 (출고가 기준)- 500만 원 이하 할인: 보조금 20% 추가
- 500만 원 초과 할인: 보조금 40% 추가
* 제조/수입사가 차량 가격을 할인할 경우 추가 인센티브 제공
- 가격 계수 개편:
- 5,300만 원 이하: 보조금 100%
- 5,300만 원~8,500만 원: 보조금 50%
- 8,500만 원 초과: 보조금 없음
4. 주행거리 인센티브 상향
- 중대형 승용차: 최대 400만 원 → 300만 원
- 소형 승용차: 최대 300만 원 → 250만 원
- 최대 주행거리 기준:
- 기존: 400km 미만
- 변경: 440km 미만
- 440km 미만 차량은 매 10km 부족 시마다 보조금 81,000원 삭감
5. 배터리 안전 인센티브 확대
- OBDII 장착: 20만 원 → 유지
- 추가 지원:
- 배터리 상태 정보 제공: 20만 원
- BMS 알람 기능: 10만 원
6. 혁신기술 인센티브
- V2L 지원: 최대 20만 원 (변동 없음)
- 고속 충전 지원:
- 기존: 최대 200kW → 변경: 최대 250kW
- 250kW 이상: 30만 원
- 100~150kW: 15만 원
- 150~200kW: 20만 원
7. 제조물 책임보험 의무화
- 미가입 시: 보조금 미지급
- 제조물 책임보험: 6개월 유예
- SOC(충전량 정보): 12개월 유예
8. 추가 인센티브
- 다자녀 가구 지원
- 2자녀: 100만 원
- 3자녀: 200만 원
- 4자녀 이상: 300만 원
- 저소득층 보조금 추가
- 중위소득 50% 이하: 총 보조금의 20% 추가
- 청년 전기차 첫 구매
- 19~34세: 총 보조금의 20% 추가
- 노후차 폐차 인센티브
- BMS 업데이트 불가 차량 폐차 후 신차 구매 시: 20만 원 (2026년 12월 31일까지)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 어떻게 준비할까요?
- 출고가 기준에 맞는 차량 선택이 중요합니다.
- 충전 성능이 개선된 차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세요.
- 가족 구성원 및 소득 기준에 따른 추가 인센티브를 적극 활용하세요.
전기차 구매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이번 정책 변화를 꼼꼼히 확인해 최적의 혜택을 누리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