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을 사용하다 보면 가끔 "복구 환경을 찾을 수 없음"이라는 오류 메시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주로 시스템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복구 파티션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해결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하겠습니다.
1. 명령 프롬프트에서 복구 환경 활성화
윈도우 복구 환경이 비활성화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다시 활성화해 봅시다.
1-1. 명령 프롬프트 열기
- 시작 버튼을 클릭하고,
cmd
를 입력한 후 명령 프롬프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1-2. 복구 환경 활성화 명령어 입력
명령 프롬프트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reagentc /enable
이 명령어는 윈도우 복구 환경을 활성화합니다.
1-3. 복구 환경 상태 확인
다시 명령어를 입력하여 복구 환경이 제대로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합니다.
reagentc /info
Windows RE 상태가 활성화됨
으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2. 시스템 파일 복구하기
만약 복구 환경이 여전히 작동하지 않는다면, 시스템 파일이 손상된 것일 수 있습니다. 시스템 파일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2-1. SFC 명령어 실행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sfc /scannow
이 명령어는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찾아 자동으로 복구해줍니다. 복구가 완료되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해 주세요.
3. 윈도우 복구 드라이브 만들기
복구 환경을 다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USB 복구 드라이브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은 복구 드라이브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3-1. 복구 드라이브 만들기 도구 실행
- 검색창에
복구 드라이브
를 입력하고 도구를 실행합니다. - USB 드라이브를 연결하고, 화면의 지시에 따라 복구 드라이브를 만듭니다.
이 USB 드라이브를 사용하면 복구 환경을 다시 실행할 수 있습니다.
4. 마지막 방법: 윈도우 재설치
위 방법들이 모두 실패한다면,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것이 최후의 방법입니다. 하지만 재설치 전에 중요한 파일은 반드시 백업해 주세요.
마무리
위의 방법들을 차례대로 따라 하면 "복구 환경을 찾을 수 없음" 오류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복구 환경을 활성화하는 명령어와 시스템 파일 복구 방법만으로도 대부분의 문제는 해결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