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전직 (도적 입문서)
- 바닐라 스킬트리
- 다크사이트 선마 스킬트리
- 2차 전직 (어쌔신 가이드)
- 크리티컬 선마
- 부스터 선행 크리티컬 선마
- 헤이스트 선마
- 3차 전직 (허밋의 길)
- 쉐파선마
- 플점선행 쉐파선마
- 어벤저 선마 (사잇길 전형)
- 결론: 나만의 스킬트리를 찾아서
- 메이플랜드 표도 스텟 가이드
- 메이플랜드 표도 사냥터 가이드
- 10~16레벨: 북쪽숲 나무 던전
- 16~20레벨: 헤네시스 동쪽 사냥터
- 20~23레벨: 추락주의
- 23~30레벨: 개미굴1
- 30~34레벨: 와이번 동굴2
- 34~39레벨: 불타는 땅1
- 40~52레벨: 붉은 정수1
- 52~60레벨: 요람, 산책로2
- 60~70레벨: 906 사냥터
메이플스토리에서 도적 직업을 선택했다면, 스킬트리는 캐릭터의 성능과 플레이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스킬트리는 언제나 정답이란 없습니다. 가는 길이 다를 뿐, 결국 높은 레벨에 도달하면 모두 비슷해집니다. 이 글에서는 도적 직업의 1차, 2차, 3차 전직별 스킬트리를 세분화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여러분이 자신에게 맞는 편한 길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남들의 발자취를 참고하여 나만의 스킬트리를 만들어 보세요!


1차 전직 (도적 입문서)
1차 전직에서는 바닐라 스킬트리와 다크사이트 선마 스킬트리 두 가지 주요 선택지가 있습니다. 아래에 각 스킬트리의 진행 순서와 특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바닐라 스킬트리
- 순서:
- 럭키 세븐 1
- 님블 바디 3
- 킨 아이즈 8
- 럭키 세븐 20
- 님블 바디 20
- 디스오더 3
- 다크 사이트 10
- 특징: 기본적인 스킬을 골고루 투자하여 안정적인 성장을 추구합니다. 특별한 우선순위 없이 무난하게 진행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다크사이트 선마 스킬트리
- 순서:
- 럭키 세븐 1
- 님블 바디 3
- 킨 아이즈 8
- 럭키 세븐 20
- 님블 바디 10
- 디스오더 3
- 다크 사이트 20
- 특징: 다크사이트를 먼저 마스터하여 초반 유틸성을 높입니다. 이후 남은 포인트로 님블 바디를 보완합니다.
다크사이트 선마 비고
- 이동속도 감소 해소: 다크사이트를 마스터하면 이동속도 감소 디버프가 사라져, 2차 전직의 헤이스트 버프와 함께 사용 가능합니다.
- 다크사이트 해제 주의: 다크사이트 상태에서 공격 버튼을 누르면 해제되니 조심하세요.
- 님블 바디 보완: 다크사이트 선마 시 님블 바디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2차나 3차 전직 후 남는 스킬 포인트로 투자하면 됩니다.
- 루디브리엄 파티 퀘스트: 다크사이트가 필수 구간이 있으므로, 파퀘를 계획 중이라면 반드시 선마를 고려하세요. 안 찍는 건 절대 금물!
2차 전직 (어쌔신 가이드)
2차 전직에서는 크리티컬 선마, 부스터 선행 크리티컬 선마, 헤이스트 선마 세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각 스킬트리의 진행 순서와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크리티컬 선마
- 순서:
- 자벨린 마스터리 3
- 크리티컬 스로우 30 (레벨 41)
- 자벨린 마스터리 5
- 자벨린 부스터 6 (레벨 44)
- 헤이스트 20 (레벨 50)
- 자벨린 마스터리 20
- 자벨린 부스터 20
- 인듀어 3
- 드레인 28
- 특징: 크리티컬 스로우를 먼저 마스터하여 크리티컬 데미지를 극대화합니다. 높은 딜을 추구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부스터 선행 크리티컬 선마
- 순서:
- 자벨린 마스터리 5
- 자벨린 부스터 6 (레벨 34)
- 크리티컬 스로우 30 (레벨 44)
- 헤이스트 20 (레벨 50)
- 자벨린 마스터리 20
- 자벨린 부스터 20
- 인듀어 3
- 드레인 28
- 특징: 부스터를 먼저 찍어 공격 속도를 높이고, 이후 크리티컬을 강화합니다. 무기 교체 타이밍을 고려하는 분들에게 유리합니다.
헤이스트 선마
- 순서:
- 헤이스트 20
- 자벨린 마스터리 5
- 자벨린 부스터 6 (레벨 40)
- 크리티컬 스로우 30 (레벨 50)
- 자벨린 마스터리 20
- 자벨린 부스터 20
- 인듀어 3
- 드레인 28
- 특징: 이동 속도와 점프력을 먼저 높여 기동성을 극대화합니다. 빠른 이동이 중요한 사냥터에서 유용합니다.
2차 전직 비고
- 부스터 투자 전략: 부스터는 지속시간 1분을 위해 6레벨까지만 먼저 찍고, 다른 스킬에 투자합니다.
- 무기 교체 타이밍: 메이플 바디(메바)에서 가디언이나 보닌으로 넘어갈 때 공속 역체감이 크므로, 부스터 6레벨 시점을 고려해 무기를 교체하세요.
- 레벨 50 통일: 크리티컬 30, 부스터 6, 헤이스트 20을 모두 찍으면 어떤 스킬트리를 택하든 레벨 50에 동일해집니다. 장비와 사냥터에 맞게 선택하세요.
- 다크사이트 연계: 1차에서 다크사이트를 선마했다면, 드레인의 10포인트를 님블 바디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인듀어 개선: 인듀어는 이제 대기/사다리 상태에서 체력과 마나 추가 회복이 가능하며, 전투 중에는 마나만 추가 회복됩니다. 예: 인듀어 20레벨 기준 대기 시 HP 70, MP 23 회복 / 전투 중 HP 회복 X, MP 23 회복.
3차 전직 (허밋의 길)
3차 전직에서는 쉐파선마, 플점선행 쉐파선마, 어벤저 선마 세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각 스킬트리의 순서와 특징을 확인하세요.
쉐파선마
- 순서:
- 쉐도우 파트너 1 (레벨 70 - 60초)
- 쉐도우 파트너 13 (레벨 74 - 120초)
- 쉐도우 파트너 22 (레벨 77 - 180초)
- 쉐도우 파트너 30 (레벨 80)
- 어벤저 5
- 플래시 점프 1
- 어벤저 30 (레벨 90)
- 알케미스트 20
- 플래시 점프 20
- 메소 업 20
- 이후 자유
- 특징: 쉐도우 파트너를 먼저 마스터하여 높은 딜을 추구합니다. 안정적인 데미지 증가를 원하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플점선행 쉐파선마
- 순서:
- 어벤저 5
- 플래시 점프 1
- 쉐도우 파트너 1 (레벨 72 - 60초)
- 쉐도우 파트너 13 (레벨 76 - 120초)
- 쉐도우 파트너 22 (레벨 79 - 180초)
- 쉐도우 파트너 30 (레벨 82)
- 어벤저 30 (레벨 90)
- 알케미스트 20
- 플래시 점프 20
- 메소 업 20
- 이후 자유
- 특징: 플래시 점프와 어벤저로 기동성을 먼저 확보하고, 이후 쉐도우 파트너를 강화합니다. 이동과 사냥 효율을 중시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어벤저 선마 (사잇길 전형)
- 순서:
- 어벤저 13 (레벨 74 - 5타격)
- 어벤저 22 (레벨 77 - 6타격)
- 어벤저 30 (레벨 80)
- 플래시 점프 1 (레벨 80)
- 쉐도우 파트너 30 (레벨 90)
- 알케미스트 20
- 플래시 점프 20
- 메소 업 20
- 이후 자유
- 특징: 어벤저를 먼저 마스터하여 광역 사냥 효율을 높입니다. 사잇길 예티인형 학살용으로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3차 전직 비고
- 쉐도우 파트너 지속시간: 1~10레벨 60초, 11~20레벨 120초, 21~30레벨 180초.
- 어벤저 타격 수: 1~10레벨 4타격, 11~20레벨 5타격, 21~30레벨 6타격.
- 어벤저 우선순위: 표도 특성상 광역기인 어벤저를 보조 스킬보다 높게 책정합니다. 점프하며 쏘는 빠른 공속의 아이언 에로우 같은 스킬을 대체하기 어렵습니다.
- 사잇길 특화: 어벤저 선마는 사잇길 졸업 후 스킬 초기화를 통해 쉐파선마로 전환 가능합니다.
- 유틸리티 스킬 선택:
- 알케미스트: 패시브로 물약 소모를 줄여줘 선마 순위가 높습니다.
- 메소 업: 솔플 시 효율이 높지만, 파티 사냥에서는 기대값이 낮습니다.
- 플래시 점프: 기동성 강화용. 취향에 따라 순서를 조정하세요. 어차피 레벨이 오르면 다 찍습니다!
결론: 나만의 스킬트리를 찾아서
도적 직업의 스킬트리는 정해진 길이 없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바닐라, 다크사이트 선마, 크리티컬 선마, 부스터 선행, 헤이스트 선마, 쉐파선마, 플점선행, 어벤저 선마 등 다양한 옵션은 모두 장단점이 있으며, 자신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솔플 위주 플레이어: 헤이스트 선마를 고집할 필요가 없습니다.
- 고체급 몹 사냥: 라이칸이나 데스테니처럼 강한 몹을 주로 잡는다면, 어벤저보다 알케미스트를 먼저 찍는 것도 고려하세요.
- 레벨 업의 보상: 결국 레벨이 올라가면 모든 스킬을 찍게 되니, 초반 선택이 영원히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자신의 장비, 사냥터, 플레이 스타일을 고려하여 이 가이드를 참고해 보세요. 여러분에게 맞는 편한 길을 찾아 즐거운 메이플 라이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메이플랜드 표도 스텟 가이드
메이플랜드에서 도적은 민첩하고 치명적인 공격으로 유명한 인기 직업입니다. 하지만 스텟 찍는 방법은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특히 초보자들에게는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이 가이드에서는 메이플랜드 도적의 스텟 찍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합니다. 40렙까지 완벽하게 스텟을 찍어 강력한 도적 캐릭터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1. 주스텟과 부스텟 정의
- 주스텟 (럭, LUX): 크리티컬 확률 증가
- 부스텟 (덱스, DEX): 공격력, 회피율 증가
2. 스텟 찍는 방법
40렙까지:
- 부스텟 (DEX): 캐릭터 레벨 x 2
- 주스텟 (LUX): DEX 찍고 남은 포인트 모두
41렙 이후:
- 부스텟 (DEX): 1업당 +1
- 주스텟 (LUX): DEX 찍고 남은 포인트 모두
3. 40렙 제 템 착용하기
40렙 제 템들은 DEX 요구치가 80이기 때문에 40렙까지 위와 같이 스텟을 찍으면 누락되는 구간 없이 장비를 착용할 수 있습니다.
4. DEX와 스킬 데미지
흥미로운 사실은 도적의 DEX 수치는 스킬 데미지 향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템 착용을 위해서는 DEX를 어쩔 수 없이 찍어야 합니다.
5. 초반 스킬 데미지 낮은 문제 해결
어떤 유저들은 10렙 도적 전직 시 DEX가 25로 강제 시작되는 탓에 초반 20렙까지 스킬 데미지가 무척 낮다고 느낍니다. 이는 DEX 수치와 스킬 데미지의 무관함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전직을 안 한 상태에서 레벨업을 하다가 15렙 이후에 도적으로 전직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렇게 하면 DEX 찍는 부담을 줄이고 초반 스킬 데미지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6. 추가 정보 및 팁
- 스텟 초기화 아이템을 사용하여 스텟을 다시 찍을 수 있습니다.
-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춰 스텟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도적 스텟 찍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메이플랜드 표도 사냥터 가이드
표도는 메이플랜드에서 가장 상징적인 몬스터 중 하나이며, 다양한 레벨대에서 사냥터로 활용됩니다. 표도 사냥은 경험치 및 메소 획득, 몬스터 카드 및 아이템 획득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레벨별 효율적인 표도 사냥터를 추천하고, 각 사냥터의 특징과 주의 사항을 설명합니다. 또한, 표도 사냥 팁과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여러분의 메이플랜드 모험에 도움을 드립니다.
레벨별 추천 사냥터
레벨 | 사냥터 | 특징 | 주의 사항 |
---|---|---|---|
1~10 | 헤네시스 - 엘리시안 사냥터 | 초보자도 쉽게 사냥 가능 | 경쟁 심화 |
10~20 | 페리온 - 숲 속 마을 | 다양한 몬스터 출몰 | 몬스터 공격력 주의 |
20~30 | 엘리니아 - 암흑의 협곡 | 표도 밀집 | 이동 불편 |
30~40 | 루나리아 - 붉은 달빛 언덕 | 표도 밀집, 높은 경험치 | 강력한 공격 스킬 보유 몬스터 주의 |
40~50 | 오르비스 - 붉은 산 | 표도 밀집, 높은 경험치 | 고드름 몬스터 주의 |
50~60 | 그리니아 - 폐허된 성 | 표도 밀집, 높은 경험치 | 몬스터 공격력 및 체력 높음 |
60~70 | 크로니클 - 시간의 숲 | 표도 밀집, 높은 경험치 | 몬스터 공격 패턴 주의 |
70~80 | 아케이드 - 몬스터 파크 | 다양한 몬스터 출몰, 높은 경험치 | 입장 제한 조건 있음 |
80~90 | 츄츄 아일랜드 - 츄츄 숲 | 표도 밀집, 높은 경험치 | 몬스터 공격 속도 빠름 |
90~100 | 리엔 - 붉은 숲 | 표도 밀집, 높은 경험치 | 강력한 스킬 보유 몬스터 주의 |
10~16레벨: 북쪽숲 나무 던전
- 사냥 몬스터: 슬라임, 스텀프
- 팁: 지속적인 사냥을 통해 레벨을 올리기 좋음.
16~20레벨: 헤네시스 동쪽 사냥터
- 사냥 몬스터: 돼지
- 팁: 돼지를 사냥하며 레벨업 진행.
20~23레벨: 추락주의
- 사냥 몬스터: 옥토퍼스
- 팁: 옥토퍼스를 원킬할 수 있을 때 가는 것이 좋음.
23~30레벨: 개미굴1
- 사냥 몬스터: 뿔버섯, 좀비버섯
- 팁: 뿔버섯을 원킬할 수 있을 때 추천. 좀비버섯은 포션 소모가 많아 비효율적일 수 있음. 파티 구성 어려우면 커닝시티 파퀘도 고려.
30~34레벨: 와이번 동굴2
- 사냥 몬스터: 좀비버섯, 와이번
- 팁: 좀비버섯과 와이번의 원킬컷 차이가 크지 않으니, 일찍 넘어가도 좋음. 2인 파티로 진행 시 1.1만 경험치 획득 가능.
34~39레벨: 불타는 땅1
- 사냥 몬스터: 파이어보어
- 팁: 원킬 확률이 33
34레벨부터 90% 이상으로 나옴. 사람이 적고 효율적으로 사냥 가능. 1.51.6만 경험치 획득.
40~52레벨: 붉은 정수1
- 사냥 몬스터: 주니어 샐리온
- 팁: 원킬 90% 이상일 때 추천. 52레벨까지 사냥 시 기대 경험치 5장. 솔로 플레이로 1.7~1.8만 경험치 획득 가능.
52~60레벨: 요람, 산책로2
- 사냥 팁: 솔플, 파사, 산책로2 등에서 사냥. 투킬 컷이 어렵다면 산책로2 우측에서 고정 사냥 가능.
60~70레벨: 906 사냥터
- 사냥 팁: 투킬 확률 90% 이상일 때 2층 추천. 60초반에 2.8만, 60후반엔 3.4만 경험치까지 획득 가능.
표도 사냥 팁
- 효율적인 공격 스킬 활용: 몬스터의 특성에 맞는 공격 스킬을 사용하여 사냥 효율을 높입니다.
- 파티 사냥: 파티를 구성하여 사냥하면 경험치 및 아이템 획득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버프 및 포션 활용: 버프 및 포션을 사용하여 공격력 및 방어력을 높이고 사냥 효율을 높입니다.
- 펫 활용: 펫을 이용하여 아이템 자동 줍기를 활성화하면 사냥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
- 본 가이드는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개인의 레벨, 캐릭터 성능,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효율적인 사냥터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사냥 시 몬스터 공격 패턴 및 특징을 파악하여 안전하게 사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도 사냥을 통해 즐거운 메이플랜드 모험을 경험하시길 바랍니다!